부산문화예술계 미투운동 기록 프로젝트
온라인 아카이브 전시
; WE REMEMBER. WE RECORD.
부산문화예술계 미투운동 기록 프로젝트 온라인 아카이브 전시부산문화예술계 미투운동 기록 프로젝트 온라인 아카이브 전시
2016년 10월, #00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을 계기로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 운동의 흐름이 시작되었다. 여성 예술인들은 ‘침묵보다 변화’를 외치며 문화예술계 성폭력에 맞서는 집담회와 캠페인을 직접 기획하며 예술 현장의 변화를 요구하였다. 2018년 전 세계적인 미투 운동으로 확산되면서 부산, 경남 지역의 연극계, 영화계, 예술대학, 예술 공공기관 등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이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해시태그 운동에서 미투 운동까지. 말하고, 행동하고, 변화를 만들어낸 예술인들의 운동이 개인의 서사를 넘어, 지역사회가 함께 기억해야 할 공공적 가치로 전환하고자 온라인 아카이브 전시: WRWR: 우리는 기억한다. 우리는 기록한다를 기획하였다.
온라인 아카이브 전시는 총 4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예술계 미투 운동에 함께한 예술인들의 목소리를 담은 <#1 우리는 침묵하지 않는다>,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 운동의 현장을 사진과 영상, 연대기로 기록한 <#2 문화예술계 성폭력 OUT!>, <#3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 연대기>, 앞으로 우리 모두가 변화를 만들어 내는 주체임을 약속하는 <#4. 변화를 위한 약속문>까지 부산문화예술계 미투 운동을 과정을 재구성하여 기록한다.
2016년 00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에서 2018년 문화예술계 미투운동까지. 문화예술계 성폭력에 맞서 말하고 행동하며 변화를 만들어낸 목소리를 기록합니다.
우리는 단 한 명의 동료도 잃을 수 없다.❞ 남순아 감독
우리에게는 불편한 현실을 마주할 용기가 있습니다. 또한, 그것을 바꿀 힘도 있습니다.❞ 여성예술인연대
우리는 피해자도 가해자도 방관자도 아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이 참상을 이해한다.❞ 고양예고 문예창작학과 졸업생 연대 <탈선>
이제부터 우리의 서사를 우리가 직접 쓸 것입니다. 지금은 당신이 우리의 서사를 들어야 할 시간입니다.❞ 이성미 시인
가해자를 위한 무대는 없다.❞ 윤단우 무용 칼럼니스트
우리는 이제 당신의 권력이 두렵지 않습니다.❞ 송원 연출, 배우
그건 예술이 아니라 성폭력입니다.❞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
2016년 00계_내_성폭력 ~ 2018년 문화예술계 미투 운동 과정에서 예술인들의 말.
아카이브
기획 송진희
연출 문창현
촬영 문창현, 권혜린
편집 문창현
제작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
인터뷰 송진희
인터뷰이 엄지영
8분 21초
VIDEO
2021
기획 송진희
연출 문창현
촬영 문창현
편집 문창현
제작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
인터뷰 송진희
인터뷰이 송원
8분 22초
VIDEO
2021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에 맞선 예술인들의 행동을 기록합니다.
사진기록 anonymous
2019.1.21 부산시장은 예술공공기관 대표선임에 사과하고 책임져라! 기자회견 손피켓
2019.1.21 부산시장은 예술공공기관 대표선임에 사과하고 책임져라! 기자회견 손피켓
2018.10.19 부산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를 지원및 대응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진행 전경
2018.10.19 부산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를 지원및 대응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진행 전경
2018.10.19 부산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를 지원및 대응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손피켓
2018.10.19 부산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를 지원및 대응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손피켓
2019.1.21 부산시장은 예술공공기관 대표선임에 사과하고 책임져라! 기자회견
2019.1.21 부산시장은 예술공공기관 대표선임에 사과하고 책임져라! 기자회견
2018.10.19 부산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를 지원및 대응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기자회견문 낭독
2018.10.19 부산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를 지원및 대응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기자회견문 낭독
2019.3.9 서면하트조형물 앞 3.8 세계 여성의날 기념 _부산페미축제_문화예술계 성폭력 발언문 낭독
2019.3.9 서면하트조형물 앞 3.8 세계 여성의날 기념 _부산페미축제_문화예술계 성폭력 발언문 낭독
2018. 11. 스쿨미투집회 예술인 연대 발언
2018. 11. 스쿨미투집회 예술인 연대 발언
5.17 강남역 여성 혐오 살인 사건 추모제 행진 시위 예술인 참여
5.17 강남역 여성 혐오 살인 사건 추모제 행진 시위 예술인 참여
2019.3.9 서면하트조형물 앞 3.8 세계 여성의날 기념 _부산페미축제_ 행진
2019.3.9 서면하트조형물 앞 3.8 세계 여성의날 기념 _부산페미축제_ 행진
2019.3.9 서면하트조형물 앞 3.8 세계 여성의날 기념 _부산페미축제_ 행진 발언
2019.3.9 서면하트조형물 앞 3.8 세계 여성의날 기념 _부산페미축제_ 행진 발언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의 구호 _그것은 예술이 아니라 성폭력입니다!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의 구호 _그것은 예술이 아니라 성폭력입니다!
사진기록 UP
2017. 8. 13 락페 내 반성폭력 '락 페미' 캠페인 현장의 깃발.
2017. 8. 13 락페 내 반성폭력 '락 페미' 캠페인. 슬램은 과격하게 손은 조신하게 문구가 새겨진 티셔츠를 나눠입고 페미존 형성.
2017. 8. 13 락페 내 반성폭력 '락 페미' 캠페인 현장의 피켓.
2017. 8. 13 락페 내 반성폭력 '락 페미' 캠페인 현장의 피켓.
2017. 8. 13 락페 내 반성폭력 '락 페미' 캠페인. 페미존에서 깃발을 흔들며.
2017. 8. 13 락페 내 반성폭력 '락 페미' 캠페인 현장. 락페 내 성폭력 OUT!
2017. 5. 21 문화다양성축제 ―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지원 전담기구 상시운영을 위한 시민서명운동.
2017. 5. 21 문화다양성축제 ― 문화예술계 성폭력 OUT! 캠페인 피켓.
2017. 5. 21 문화다양성축제 ― 문화예술계 성폭력 OUT! 캠페인 피켓.
2017. 5. 21 문화다양성축제 ― 문화예술계 성폭력 OUT! 캠페인 피켓.
2017. 5. 21 문화다양성축제 ― 페미니스트 아티스트들의 행진 퍼포먼스.
연출, 촬영, 편집 전찬영
주최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
8분
VIDEO
2021
#00계_내 성폭력이라는 해시태그를 달고 오타쿠, 문학, 미술, 인디음악 분야의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 시작. 2016년 10월 31일 #부산문화예술계_내_성폭력 페이스북 페이지를 개설. 부산문화예술인들의 자발적인 반성폭력 운동의 시작
상세보기#00계_내 성폭력이라는 해시태그를 달고 오타쿠, 문학, 미술, 인디음악 분야의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 시작. 2016년 10월 31일 #부산문화예술계_내_성폭력 페이스북 페이지를 개설. 부산문화예술인들의 자발적인 반성폭력 운동의 시작
#부산문화예술계_내_성폭력 페이스북 페이지 개설. 부산 미술 작가 3인의 선언문 <침묵보다 변화를> 발표
#부산문화예술계_내_성폭력 페이스북 페이지에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 성폭력 발화문서 11건 아카이브
여성주의 저널 <일다> 부산문화예술계 내 성폭력에 대한 말하기 <문화예술계 성폭력, 기록하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 글 기고
#부산문화예술계_내_성폭력을 이야기하는 사전 모임 개최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말하기 첫 번째 집담회 <#우리는_연결될수록_ 강하다> 개최
부산성폭력상담소와 협력하여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신고창구> 개설 및 지원 안내 문화예술계 성폭력 OUT 운동! 캠페인, 집담회 개최
#영화계_내_성폭력 '말하기' 사전모임 개최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말하기 두 번째 집담회 <우리의 말하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개최
남배우 A사건 성명문 "그건 연기가 아니라 성폭력입니다“ 공동 성명 발표
부산성폭력상담소와 협력하여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신고창구> 개설 및 지원 안내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 부산 추모제 <우리의 두려움은 용기가 되어 돌아왔다> 발언 참여
문화 다양성 축제 <페미니스트 아티스트들의 피켓 행진-몸의 기억> 퍼포먼스 기획 및 진행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지원 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합니다> 시민 서명 운동 진행
<대학 내 반성폭력 연대를 위한 토크 콘서트> 발제 참여
성폭력 2차 가해를 표현의 자유로 해석한 000잡지 사태에 대한 성명서 게재
<세대를 넘어 퀴어하기, 널 생각만 해도 난 강해져> 대구 집담회 패널 참여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 사례 및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 조사 실시
락페스티벌_내_성폭력 OUT! 행동 캠페인 <락페미> 기획 및 진행
락 페스티벌, 인디씬 내 성폭력에 반대하는 성명서 서명운동 진행
<시각예술에 있어서 표현의 자유와 페미니즘> 강연 개최
대학 내 성폭력 문화에 대응하는 우리들의 행동 <그건 성폭력입니다> 집담회 개최
미술계와 정치계에서 활동하는 가해자A에 대한 연대 활동 및 최종 징계 내용 페이스북 페이지에 공유
2018년 1월 서지현 검사의 미투를 시작으로 사회 전 영역으로 미투 운동이 확산. 부산 경남 연극계 미투 운동을 시작으로 영화계, 예술 공공기관, 예술대학, 예술 고등학교 등에서 동시다발적인 미투 고발. 부산문화예술계 미투 대책 마련을 위한 예술인들의 정책 요구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미투 대나무 숲> 페이스북 페이지 개설
부산문화예술계 미투에 대응하는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 결성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대책 마련을 위한 정책 제안서> 부산시 문화예술과 제출
00대학교 미투 고발 운동 피해지원 및 대응 활동
부산 예술 공공기관 성추행 사건에 대한 <미투 이후, 우리는 성평등한 조직을 원한다> 공동 성명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특별 대응센터> 피해지원 및 정책 제안, 캠페인 활동 및 운영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특별조사단> 부산 간담회 개최
#나도_최영미다_연대 서명 <고은_그런_명예는_훼손되는_것이_마땅하다> 연대 성명 발표
<지역 문화예술계 metoo, 제도 개선 및 대안 모색>을 위한 간담회 개최
문화예술계 성폭력을 수수방관하는 현행법을 규탄한다! 성명 발표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말하기 세 번째 집담회 <예술계 '미투' 이후를 살아가는 말들> 개최
부산대학교 성폭력 가해지목인이 시간강사로 위촉된 사건에 대한 공동 성명 발표
<수잔나 딜버 국제초청 포럼 예술계 미투 이후, 연대의 힘> 공동 개최
부산국제영화제 토크 프로그램 <영화계 미투 이후, 우리가 살아가는 법> 패널 참여
문화예술계 성폭력 대응센터 상시운영과 성폭력 피해지원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공동 성명 발표
부산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를 지원 및 대응센터 상시운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주최
<예술계에서 여성 창작자로 살아남는 생존의 전략> 강연 개최
<성평등한 창작환경을 위한 문화예술 공공기관의 역할 찾기> 포럼 발제 참여
예술 공공기관 대표이사 선임 재고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및 공동성명 1,909명 참여.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예방센터 문 열다.
<언더 더 씨>사태에 대한 기록 : 예술의 윤리를 다시 쓰기 위하여 성명 발표
예술 공공기관 대표이사 선임 재고를 촉구한다. 공동 성명 발표
세월호 희생자를 성적 대상화하여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000작가의 대표이사 사퇴를 촉구 기자회견
<부산페미축제> 문화예술인 참여 부스 및 연대 발언 참여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지원 센터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예방센터> 운영
성평등한 창작환경을 위한 <예술계_내_행동강령> 미술, 무용, 인디음악 세 장르 연구 공동 진행
부산, 경남 문화예술계 성평등 확산 포럼 <이제는 달라졌고, 우리는 바꾼다> 공동 주최
문화예술계 미투를 기록하는 공연, 전시 <기록하는 목소리> 공동기획 및 참여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예방센터의 운영 중단 사태 대응 행동. 안전하고 성평등한 예술 환경 조성을 위한 부산문화예술계 자치규약의 흐름
<디지털 성착취 규탄 및 부산공동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 참여
<56년 만의 미투, 재심으로 정의를!> 성폭력 피해자의 정당방위 인정을 위한 재심 개시 촉구 기자회견 참여
미술계 Y성희롱 사건 공론화 지지 성명 발표
<디지털 성착취의 공범은 대한민국 사법부다> 기자회견 참여
<부산시는 문화예술인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 성폭력 예방센터 중단 사태를 해결하라!> 성명서 발표
부산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지원 센터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예방센터> 운영
<성희롱, 성차별 근절을 위한 부산여성 시국> 기자회견 참여
낙태죄 폐지를 위한 긴급 기자회견 <임신 중지는 ‘죄’가 아니다 지금 당장 낙태죄를 폐지하라!> 참여
안전하고 평등한 창작환경을 위한 부산 연극계 스탠다드 <세이프 온 스테이지> 기획 및 진행
부산문화예술계 성평등 포럼 <미투에서 성평등까지> 발제 참여
부산문화예술계 미투 운동 기록프로젝트
안전하고 평등한 창작환경을 위한 부산 연극계 스탠다드 <세이프 온 스테이지> 기획 및 진행
2020년 성폭력 추방주간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예방센터 대응 방안 세미나 CONNECT: FEMINIST-ART-IST 발제 참여
문화 다양성 연극 살롱 SAFE ON STAGE 진행
아르코 현장 대토론회 <문화예술계 성폭력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한 도전과 과제> 발제 참여
언론보도 아카이브
만든사람들
전시 기획 & 디렉터 송진희
기획팀 종이별
구성 자문 고하나
캠페인 사진 기록물 UP
인터뷰이 엄지영 송원
참여작가 문창현 전찬영 ANONYMOUS
웹비주얼&웹디자인 이영주
주최 부산문화예술계반성폭력연대
후원 다음세대재단 오픈소사이어티재단